강아지 아토피, 단순한 가려움이 아닙니다. 주요 증상과 원인, 치료제 종류, 생활 속 관리 팁까지 반려인을 위한 유용한 가이드를 정리했습니다.
| 아토피란?
아토피는 알레르기 질환이 발병하는 유전적인 경향을 말합니다. 꽃가루, 곰팡이, 먼지 입자 등과 같은 환경에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합니다.
1. 아토피의 원인
기생충, 벼룩 물림, 알레르기, 음식 알레르기, 이차 감염 등
2. 아토피성 피부염의 특징
(1) 아토피로 인한 계절성 가려움증은 반려동물의 삶 초기에 시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공기 중 알레르겐(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은 주로 실내에 집중되어 있으며, 야외로 나간다고 해서 알레르겐을 피하기는 어렵습니다.
(3) 아토피로 인한 가려움증은 코르티손 계열 약물에 빠르게 반응합니다.
(4) 알레르기가 피부 미세환경에 변화를 일으킬 때 피부가 두꺼워지고 색이 변하며,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5) 앞 발등이나 발가락 사이를 씹거나 발을 핥는 것은 아토피성 피부염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6) 귓바퀴는 일반적으로 아토피성 피부염에 영향을 받습니다.
3. 치료 옵션
(1) 2차 감염 제거
2차 감염은 피부에서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박테리아와 효모가 피부 자극으로 증식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감염은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 이전에 증상이 조절되었더라도 가려움증이 재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저감각화(알레르겐 특이 면역 요법)
저감각화는 알레르기 주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다른 약물들은 기본적으로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데 그치지만, 저감각화는 실제로 면역 체계를 변화시켜 알레르기 반응을 감소시킵니다.
어린 반려동물일수록 효과가 더 좋습니다.
(3)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 약물은 가려운 피부를 치료하는 첫 번째 방어선으로 수십 년 동안 유용하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고용량과 장기 사용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다른 약물을 통해 스테로이드의 사용을 줄이거나 없애는 추세입니다.
(4) 시클로스포린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약물로,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을 피할 수 있지만, 자체적인 부작용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5) 오클라시티닙 (아포퀠)
가려움증 완화에 효과적인 최신 약물로, 가려움증의 증상을 빠르게 차단합니다.
피부 염증을 해결하지는 않으며,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피부 감염에 대한 관리가 여전히 필요합니다.
(6) 아토피 피부염 면역 치료 (Cytopoint)
사이토포인트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해 백신 기술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가려움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를 차단하는 주사입니다.
보통 주사를 맞은 후 24시간 이내에 효과가 나타납니다.
4. 보충제
▶ 오메가3 지방산: 피부 내 염증성 화학 물질의 생성을 저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충제를 사용하면 스테로이드의 필요성을 줄이거나 증상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팔미토일에탄올아마이드(PEA): 피부 생화학의 균형을 회복하고, 가려움증의 원인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항히스타민제: 반려동물에게 인기가 있었지만,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다른 제품과 함께 사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장기적인 완화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그 외에도 가정에서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관리 방법을 통해 강아지의 가려움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목욕: 반려동물을 자주 목욕시켜 털에서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제거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미지근한 물은 가려운 피부를 진정시키고, 보습 샴푸는 피부의 자연 장벽을 회복하거나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유용합니다.
▶ 침구와 장난감 관리: 봉제 장난감은 피하고, 침구는 정기적으로 세탁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진드기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청소: 청소기나 먼지 제거 시 반려동물을 주변에서 떨어져 있게 하고, 에어컨이나 공기 청정기를 사용해 공기 질을 관리하세요.
▶ 식물 관리: 실내 식물을 최소화하면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 읽은면 좋은 글
강아지, 고양이 가려움증의 원인과 정확한 진단 방법
강아지와 고양이의 가려움증은 피부 알레르기, 기생충 감염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정확한 검진과 조기 대처가 건강을 지키는 핵심입니다.1. 강아지, 고양이 가려움증의 원인과 특징▶
myrealsimple.com
참고자료: Wendy Brooks DVM, DABVP 'Allergies: Atopic Dermatitis in Dogs and Cats' 2023
댓글로 궁금한 내용을 남겨주시면
확인 후 빠르게 답변드릴게요 🙂
'반려동물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와 고양이의 스테로이드 사용: 효과, 부작용, 대체 치료까지 (2) | 2025.04.27 |
---|---|
강아지, 고양이 가려움증의 원인과 정확한 진단 방법 (1) | 2025.04.26 |
강아지 산책 스트레스 줄이는 4가지 방법 (3) | 2025.04.23 |
노령견의 수면장애 원인과 대처법 총정리 (1) | 2025.04.22 |
강아지, 고양이 발작 증상과 응급 대처법 (0) | 2025.04.21 |
댓글